방향성보다 중요한 것은 윤리


내가 싫어하는 사람을 비열하고 저급한 방식으로 욕하는 사람을 ‘애써 이해해주고 싶은 마음’이 자기도 모르게 생기는 것까지는 이해해줄 수 있다.

하지만 그런 마음을 공개적으로 표시하는 것, 예컨대 ‘다른 부분에서 훌륭한 글이고, 왜 그런 마음이 드는지는 이해하지만…’이라는 말을 하는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저열할 뿐만 아니라 위험한 인간들이다.
설사 이런 사람들이 옹호하는 결론이 내 생각과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이런 사람들은 내 생각과 반대되는 주장을 정상적으로 펼치는 사람들보다 더 멀리해야 한다.

결론의 차이는 방향성의 문제지만, 대상에 대한 호오에 따라 기준을 무너뜨리는 것은 ‘윤리’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유불리 또는 정서적 거리감과 관계 없이 유지하는 일관적 기준, 공론의 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윤리다. 요즘 들어, 특히 ‘조국 사태’ 이후 가장 노골적으로 그리고 충격적으로 무너진 가치이기도 하다.

어처구니 없는 헛소리에 대해 완곡하게라도 비판하기 위해서는 마땅히 공감을 표시하며 예의를 갖추고 시작해야 한다는 식의 글(들)을 보고 어처구니가 없어서 몇 자 적었다.

당위와 삶이 괴리된 ‘빈말’ / 경향신문 2021. 08. 12. 15:21 / 홍혜은 (저술가, 기획자)

당위와 삶이 괴리된 ‘빈말’
홍혜은 저술가·기획자입력 : 2021.08.12 03:00 수정 : 2021.08.12 15:21

여성의전화에서 가정폭력전문상담원 교육을 받을 때였다. 점심 때마다 김밥을 사다 먹고 있었는데, 하루는 중년 여성들의 도시락 팀에서 나를 불러다 앉혔다. 싸온 것이 없다고 면구스러워하는 내게 숟가락을 쥐여주더니, 내 앞에 반찬 뚜껑을 놓고 밥을 한 술씩 덜어주고 하나씩 가져온 반찬을 공개했다. 반찬에 얽힌 스토리가 공유되면 거기에 김치 맛이 참 잘 들었다, 배추가 달다, 이런 칭찬이 한마디씩 따라붙었다. 밥그릇을 비우자 제철 사과가 두어 개 나왔다. 그걸로 입가심을 하고 나니 누가 먼저랄 것 없이 손들이 움직였다. 먹은 흔적이 금세 사라지고 책상이 깨끗해졌다. 아름답고 평화로웠다. 어릴 적 밥상 앞에서 부친이 음식 타박을 하다가 TV 보러 가면 남은 식구들끼리 서로 치우기 싫어하던 그 분위기와는 사뭇 달랐다.

국민의힘 대선 예비 후보 윤석열에 대해 얘기하려고 한다. 그는 돌봄을 전혀 모른다. 그의 눈에 사람은 일주일에 120시간씩 ‘회사 일’에 충성하며 나머지를 모조리 내팽개치고 그 수습은 그림자노동의 영역에 떠넘겨도 된다. 먹거리 문제에 대해 그가 뱉은 말은 시장논리에 따라 ‘부정식품’을 먹을 ‘자유’다. 그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무엇이 안중에도 없는지는 이미 자명하다. 윤석열과 돌봄에 관한 일화라고는 장모의 요양병원 불법 개설 사건뿐이다.
언론 카메라 앞에서도 쩍 벌어진 그의 다리에서는 무엇을 읽을 수 있을까? 혹자는 법조계 출신 중년 남성의 오만한 태도 문제로 보기도 하지만, 내 주변의 체육인, 의료인들은 허벅지 안쪽 내전근의 실종과 지나친 복부 비만이 근본적인 문제일 수 있다고 본다. 몸을 미와 쓸모의 기준으로 재단하는 것은 가부장주의적이고 자본주의적이다. 그럼에도 이 몸은 유죄다. 왜냐하면 그는 ‘부정식품’밖에 먹을 수 없는 계급도 아니고, 자기돌봄으로서의 생활체육에 쓸 돈과 시간을 ‘먹고사니즘’에 의해 박탈당한 저임금 노동자, 자영업자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의 몸은 자유를 오해하고 낭비하며 이런 세상을 만드는 데 권력을 앞장세워 살아간 결과 그 자체다.
그의 눈높이에서 이루어지는 정치로 아무렇게나 방치되고 죽어가는 몸들을 구해낼 수 있을까? 그는 1인 가구 50대 남성에게 지자체가 나서서 도시락을 싸줘야만 밥을 먹을 수 있는 이 현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저렴한 식재료로 밥을 해 먹는 게 보편화된 독일에서는 총리 메르켈도 퇴근길에 장을 본다.

돌봄의 성별 불균형, 노동시장에서의 여성 인력 유출, 저출산, 과로사, 우울과 자살, 끝없는 소비, 전염병, 환경 파괴…. 인류 멸종이라는 엔딩으로 달려가는 이 위기를 끝낼 방법을 안다. 당위와 삶이 괴리되어 텅 빈 말만 뱉는 사람들을 퇴출하고 자신과 남과 생활을 잘 돌보는 요령이 있는 사람들로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를 구성하면 된다. 돌봄이 체화된 사람들의 경험과 눈높이는 다르다. 이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실행되는 정책과 법은 이 사회의 틀거리와 구체적인 모양새를 완전히 바꿀 것이다. 2012년 대선에는 청소노동자 김순자가 있었다. 그런데 이 시국에 윤석열?

Categories ETC